-
목차
두경부 방사선 치료는 기능 및 형태 보존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주로 편평상피암에 효과적이며, 목 몽우리가 흔한 첫 증상입니다. 림프샘 전이가 있어도 원발 부위와 함께 치료 시 완치율이 높습니다. 치료 시 정상 조직 차폐와 자세에 유의해야 하며, 점막 염 등 부작용 관리가 중요합니다. 머리 위치 고정이 핵심이며, 쇄골 상 림프샘 조사 시 겹친 부위 선량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선 두경부의 방사선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경부 방사선 치료 두경부 (head & neck)
방사선 치료의 장점은 치료 부위의 기능과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두경부 종양은 방사선 감수성이 비교적 높은 편평상피암에 해당하며 , 이에 따라 외과적 치료보다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외부 노출 부위의 상처나 기능의 손상 없이 치료할 수 있습니다. 후두 , 입 , 목 , 혀에 생기는 종양은 주로 담배나 음주가 잦은 사람에게서 발생하며 , 비인 · 후두암 (nasopharyngeal cancer) 은 담배와는 관계가 적지만 10 대에서도 발병되고 있으며 , 비강 , 타액선의 종양은 그리 흔치 않습니다.
대부분 환자의 첫 증상은 원발부위를 짐작하게 하는 목 주위의 몽우리 (lump) 를 발견할 수 있으며 종양보다 더 큰 경부림프절도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상기도는 림프샘 (lymphatic vessels) 이 많아 주위의 경부림프절로 쉽게 전이가 되나 , 림프샘이 발견되면 이미 원격전이가 의심되는 전립선암 , 유방암과는 다르게 원발부위와 림프샘만 치유하면 완치 확률이 비교적 높습니다. 경부 림프샘이 확실히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주위의 림프샘 및 쇄골상 림프절을 포함하여 치료합니다. 완치를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시 보통은 조사 면을 줄여가면서 치료하는 축소조사면 기법 (cone down technique) 으로 총 선량 6,000~7,500 cGy 를 조사합니다.
또한 수술 전 · 후 방사선치료는 4,500~5,000cGy 까지 조사하고 종양의 반응을 관찰하여 반응이 양호한 경우에는 계속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는 치료를 중단하고 2~6 주 후 수술을 합니다.
방사선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모의 치료촬영 시 정상조직의 차폐와 환자의 자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치료 기간 중 대부분의 환자는 조사 부위에 방사선 점막 염 (dryness 와 soreness) 이 발생하며 , 이를 경감시키기 위한 노력과 치료 후의 부작용을 위해 환자의 치아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두경부종양의 방사선치료는 머리 위치와 고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머리가 조금이라도 달라지면 대향 2 문 조사의 정확성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턱의 위치 확인은 매일 동일하게 위치를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며 , 모의 치료촬영 시 턱 위치와 치료할 때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bite-block 을 사용함으로써 턱의 위치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혀도 고정하여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어깨가 치료 조사 면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 만약 기구가 없을 경우 , 환자가 치료 테이블을 잡아당기게 함으로써 환자의 어깨가 조사 면에 포함되지 않도록 합니다. 경부림프절은 투시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납 줄이나 철사를 림프샘에 붙여 림프샘이 조사 면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합니다.
대향 2 문 조사
1. 환자에게 모의 치료촬영 절차를 설명합니다.
2. 만약 환자에게 의치가 있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의치의 제거 여부를 결정하고 차트에 기록합니다.
3. 똑바로 누운 자세 (supine) 에서 환자의 머리에 적절한 고정 기구를 선택하고 , 양팔은 어깨가 조사 면에 포함되지 않도록 합니다.
4. 보조 용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5. 적절한 자세를 결정하면 테이프 또는 다른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머리를 고정합니다.
6. Gantry 를 옆 (lateral) 으로 회전합니다.
7. isocenter 를 정하고 SSD 를 맞춥니다. (전 뇌 조사법과 동일)
8. 조사 면에 납줄을 붙이고 선량 계산 지점 또는 원하는 위치에 직경 1mm 정도의 납 또는 철을 붙입니다. (경우에 따라서 이 과정을 생략하고 모의 치료촬영 필름에 직접 조사면을 그리기도 한다.)
9. 좌 · 우측 사진을 촬영하여 조사면을 확인합니다.
10. 촬영된 사진을 의사와 함께 확인합니다.
11. 환자의 피부에 치료 조사면을 그립니다.
12. 차폐 부위가 결정된 사진을 차폐물 제작실로 전송하여 차폐물을 제작합니다.
13. 치료 부위에 대한 폴라로이드 사진을 촬영하여 차트에 붙입니다.
14. 환자의 기록철에 모든 모의 치료촬영 정보를 기록합니다.
15. 방사선치료 일정을 정합니다.
좌우 쇄골 상 림프샘 조사 (supra clavicular lymph node: SCL)
쇄골 상 림프샘은 경부의 좌우 대향 2 문 조사의 조사 면과 경계 부위의 겹침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1. Gantry 를 테이블에 수직으로 돌려 쇄골 상 조사 면에 맞춥니다.
2. 조사 면의 중심 (center) 을 정하고 SSD 를 맞춥니다.
3. 투시하면서 의사가 조사면을 결정합니다.
- 조사 면의 윗면이 측면 조사 면의 밑면에 접합니다.
- 조사 면의 측면은 쇄골의 2/3 를 포함하도록 합니다.
- 조사 면의 밑면은 림프샘의 유무에 따라 쇄골의 1/2 또는 전부를 포함합니다.
4. 조사 면의 퍼짐 (divergence) 으로 인해서 측면 조사 면과 겹치므로 척수 부위를 차폐합니다. (차폐는 쇄골 밑의 폐 보호가 주목적입니다.)
5. 사진을 촬영하고 환자 피부에 조사 면을 표시합니다.
6. 촬영한 사진을 의사와 함께 확인합니다.
7. 환자의 피부에 잉크로 표시합니다.
8. 차트에 모든 모의 치료촬영 정보를 기록합니다.
주의 사항
두경부종양의 치료는 대부분 상부 (upper neck) 를 포함한 대향 2 문 조사와 하부 (lower neck) 의 쇄골 상 림프샘 (supraclavicular lymph node 포함한 1 문 조사로 시행합니다. 이때 세 조사 부위의 겹치는 부위 (척수 선량) 의 선량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하부 조사면 (SCL) 은 보통 SSD 법으로 정면 조사를 실행하며 , 상부 조사면은 SAD 법 또는 SSD 법으로 대향 2 문 조사를 실행합니다.
SAD 법의 장점
1. SSD 법에 비해 환자 위치를 조정하기 편합니다. 대향 2 문 조사 시 환자와 테이블을 움직이지 않으므로 조사면을 변화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일 수 있고 SSD 가 약간 틀려도 반대 측 조사 면에서 보상이 됩니다.
2. SSD 법에 비해 방사선사가 환자 위치를 조정할 때 SSD 를 확인함으로써 치료 기간 중 환자의 두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선속의 퍼짐으로 인한 세 조사면 간의 접합 부위는 저선량 또는 과 선량이 조사 될 수 있기 때문에 모의 치료촬영 또는 치료 시 환자의 정확한 자세 재현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하며 치료 중 치료 부위 확인 사진 (verification film: L-gram 촬영하여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차트에 환자의 두께나 기타 위치를 조정할 때의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은 치료 시 정확한 위치 재현과 선량 (MU) 계산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조사 면의 크기. 조사면 중심에서의 두께 등은 정확한 종양 선량을 계산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조사면 내의 중심점 이외의 임의적인 지점의 선량을 계산할 경우 , 모의 치료촬영을 시행하면서 납 줄로 표시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 중심선과의 거리를 재서 산란선의 영향을 고려하여 정확한 선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계산은 모의 치료촬영 필름에 조사 면과 선량 , 알고 싶은 점의 위치를 표시하여 컴퓨터에 입력해서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방사선 모의 치료 기법 (0) 2025.04.07 흉부(chest)의 방사선치료 (0) 2025.04.05 방사선 치료 확인 방법과 뇌종양의 모의 치료 방법 (0) 2025.04.04 환자 치료 자세 고정 장치 (0) 2025.04.04 체표 윤곽도(Body contour)와 체표 윤곽도(Body contour)를 얻는 방법 (0) 2025.04.03